로이터 “핵심 부품 내재화로 성능 향상•비용 절감 꾀해”

사진 = 언스플래시

대화형 인공지능(AI) ‘Chat(챗) GPT’를 개발, 운영하는 미국 스타트업 오픈AI가 독자적인 반도체 개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5일 밝혀졌다. AI를 구동하는 핵심 부품을 내재화해 AI 서비스의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반도체 부족을 배경으로 자체 개발을 위해 반도체 관련 기업 인수나 기존 제조업체와의 제휴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오픈AI는 이와 관련해 코멘트 하지 않았다.

챗 GPT 등 생성형 AI는 데이터센터 서버를 이용해 개발-운영하고 있는데,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과 이용자의 질문에 답하는 추론에는 두뇌 역할을 하는 대량의 반도체가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AI 처리에 적합한 이미지 처리 반도체(GPU)는 미국 엔비디아가 약 8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강’ 양상을 보이고 있다. 챗 GPT는 약 1만 개의 GPU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급처도 적고, 생성 AI 붐을 배경으로 최근 들어 특히 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

미국 거대 기술기업으로는 구글이 자체적으로 AI 반도체를 개발해 운용하기 시작했고, 아마존도 클라우드 사업에 자체 반도체를 활용한다. 초기 개발 부담이 크지만, 반도체를 내재화하면 중장기적으로 자사 서비스에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도체 업체로는 엔비디아의 경쟁사인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AMD)도 도입 비용을 낮춘 AI 반도체 신제품을 발표했다. 미국 인텔도 PC에서 효율적으로 AI를 구동하는 신제품을 개발했으며, 향후 AI를 둘러싸고 서비스 업체와 반도체 업체들의 협력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