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페이크(가짜) 사진 한 장이 자본시장의 상징인 미국 주식시장을 흔들었다. 미국 국방부 청사인 펜타곤 인근에서 22일 폭발이 발생했다는 사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진 것이다. 9·11 테러 당시를 떠올린 사람들이 주식을 투매했고, 그 여파로 한때 주가가 0.3% 하락했다.

상상해 보자. A라는 사람이 굴지의 상장 대기업 공장이 폭발했다는 사진을 SNS에 올린다. 그리고 주가가 내리면 바로 매수한다.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주가는 회복된다. A는 상당한 주가 차익을 누린다.

트위터에 올라온 미국 펜타곤 인근 대형 폭발 사진. AI가 만든 페이크(가짜) 사진으로 알려졌다. [출처 : 트위터 캡처]

최근 한 유명 경제패널이 라디오 방송에서 AI 딥페이크 목소리를 재현했다. 자신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특정 문장을 입력해서 얻어낸 목소리다. 딥페이크 적용 목소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구별이 쉽지 않았다. 페이크 사실을 몰랐다면 충분히 속았을 것이다.

또 상상해보자. 누군가 상당한 자산을 보유한 사람의 자녀 목소리를 AI로 위조해 급전이 필요하다고 부모에게 전화한다. 결과는 뻔하다. ‘보이스 피싱’은 피할 수 있지만 자식의 급전 요구를 의심하는 부모는 많지 않다. 문제는 일련의 작업에 큰돈이 소요되지 않는다. 마치 수십 년 전 ‘장난전화’를 걸듯이 누구나 악용할 소지가 있다.

AI의 놀라운 미래를 보여준 챗GPT 개발사 오픈AI 샘 울트먼 CEO는 최근 블로그에 ‘AI의 잠재적 위험과 부작용을 막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같은 국제 감시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순간 필자는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베르나르드 노벨이 오버랩 됐다. 그는 굴착 공사, 수로 발파 등 건설 편리를 위해 발명한 다이너마이트가 인명 살상용으로도 사용되는 것이 안타까워 전 재산을 기부해 노벨상을 만들었다.

원자력의 무서움은 누구나 안다. 울트먼 CEO가 AI를 원자력에 비유한 것은 그만큼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는 분명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위험이다. 어찌 보면 AI는 원자력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AI는 SW 결과물이다. 원자력처럼 실체가 없다.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개발하는지 알 수 없다. 막으려 해도 방도가 없다. 아무리 윤리를 강조한다고 해도 사람의 탐욕을 막지는 못한다.

해법은 찾아야 한다. 세계가 모여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게 IAEA와 같은 국제기구일 수 있다. 모든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개하고 해법을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상하지 못했던 상황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