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인식·상황인지 AI 기술과 VPN·대역폭 기술 결합
대전-판교 서비스 연동 및 시연...인간 중심 초연결 사회 구현 기대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과 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네트워킹 플랫폼을 개발했다. 플랫폼 기반 응용서비스 시연에도 성공했다. 코로나19 이후 뉴노멀로 자리잡은 인간 중심 초연결사회 실현이 머지않아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명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탁연구과제로 AI 기반 지능형 에지 네트워킹 핵심기술을 개발, 전국망 규모의 코렌(KOREN)과 연동해 4개 응용서비스와 연계한 시연 및 기술 검증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ETRI 연구진이 대역폭 제어를 통해 긴급 대피 영상을 우선 송출하고 있다.
ETRI 연구진이 대역폭 제어를 통해 긴급 대피 영상을 우선 송출하고 있다.

ETRI가 개발한 지능형 에지 네트워킹 플랫폼은 AI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핵심 네트워킹 기술이다. 얼굴인식과 상황인지 AI 기술로 사용자 주변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지)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랫폼 안에 설계한 이벤트커넥터 기술이 핵심이다. 이 기술은 AI와 네트워크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AI가 관찰, 수집한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산처리해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기존에는 단말끼리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해 저용량 AI 데이터만 처리하거나, 보안성이 낮은 클라우드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했다. 반면 이 기술은 사람이나 사물과 가까운 서버를 활용해 빠르고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통신과 연산을 할 수 있다.  

ETRI는 대전-판교 간 KOREN을 연동해 △영상정보 전송경로 제어 서비스 △지능형 보안 네트워킹 서비스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서비스 △맞춤형 응용서비스 등 4가지 상황인지 기반 서비스를 시연하고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상황인지 기반 영상정보 전송경로 제어서비스는 화재나 침입 등 비상상황을 AI가 인식해 자동으로 해당 영상을 중앙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서비스다. 로컬서버에서 상시 모니터링하다가 비상상황만 구별해 전송한다. 인구밀집구역에서 미아를 찾거나 금연구역에서 흡연자를 탐지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 해결 및 관제 효율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능형 보안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사설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연결해주는 서비스다. AI가 기업 임직원 얼굴이나 음성을 인식해 단말을 기업망에 자동 연결해주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설망이나 특수망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서비스는 긴급상황 발생 시 AI가 인지해 송출 중인 영상 대신 대피 안내도나 비상 시 행동 매뉴얼 등을 우성 송출해주는 서비스다. 시청각 장애인을 인식해 맞춤형으로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휴대폰 단말과 스마트 글래스 등 사용자 주변 물리장치간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연구진은 플랫폼 구축에 △다계층 분산 협력적 AI 기술 △분산자원 자율관리·마이크로서비스 구성기술 △지능형 SD-WAN 에지 패브릭 기술 등을 집적해 지능화·가속화·자동화를 구현했다.

김선미 ETRI 네트워크연구본부장은 "지능형 에지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을 연결해 특정 상황 정보를 필요한 곳에 신속하게 전달,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면서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핵심 기술로 활용도가 높고,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이 기술을 고도화해 기업에서 AI 응용서비스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개발해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차세대 분산 지능 인프라 환경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