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웨어러블 시대 앞당길 것으로 기대

전극 물질과 섬유 소재를 일체화해 기계적 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개념 전극 구조체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전자부품연구원(KETI)은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유지상 센터장과 우상길 박사 팀이 국민대학교 김재헌 교수 팀, UNIST 이상영 교수 팀과 공동으로 PET 직물과 니켈·주석 합금이 일체화된 신개념 전극 구조체(Sn@Ni 섬유전극)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은 PET 고분자 직물과 전도성 금속인 니켈(Ni) 층을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계적 변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두 개의 이종금속 환원전위 차이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 전기 화학적 작용을 말하는 갈바닉 치환법을 적용해 니켈의 일부를 리튬 저장이 가능한 주석(Sn)으로 치환해 기존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일체형 Sn@Ni 섬유 전극 개념도와 종이 배모양 전극으로 적용된 플렉서블 이차전지
일체형 Sn@Ni 섬유 전극 개념도와 종이 배모양 전극으로 적용된 플렉서블 이차전지

다시말해 화학적·구조적 고유한 형태를 갖게 되어 기계적 내구성이 뛰어나며, 기존 전극보다 이온과 전자의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연구팀이 기계적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 전지 크기의 절반까지 2,000회 벤딩을 반복한 후에도 96% 이상의 용량을 유지했다.

전기 전도도도 기존 전극 대비 600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KETI는 Sn@Ni 섬유 전극이 적용된 고분자 전해질 기반의 플렉서블 이차전지를 후속 연구로 진행하고 있다.

우상길 KETI 박사는 “향후 이러한 요소기술들이 융합된 이차전지 시스템이 플렉서블 이차전지의 조기 상용화와 차세대 웨어러블 시장의 도래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발 기술은 중요성을 인정받아 재료분야 국제 학술 저널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의 4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한편 최근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성능 구현이 가능한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 플렉서블 이차전지의 전극은 휘고 구부리는 기계적 변형에 취약한 금속박을 탄소 기반 기판이나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고분자 직물로 변경하는 기술들을 중심으로 연구돼 왔다.

하지만 탄소 기반 기판의 경우 복잡한 제조 공정과 높은 비용이 상용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고, 고분자 직물의 경우 기계적 변형 시 균열 등이 발생해 전극 구성 요소가 쉽게 분리되고 용량이 매우 작다는 한계점이 있다.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논문 표지 : ‘20.04 발행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논문 표지 : ‘20.04 발행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