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지방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에 힘입어 전기자동차(EV) 보급의 필수 인프라인 EV충전스탠드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사진=언스플래시
중국에서는 지방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에 힘입어 전기자동차(EV) 보급의 필수 인프라인 EV충전스탠드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사진=언스플래시

최근 들어, 중국에서는 전기자동차(EV) 보급의 필수 인프라인 EV충전스탠드가 급속도로 확대돼가는 양상이다.

중국 하이테크산업 전문매체인 36Kr는 최근 1 개월 새, 중국의 지방 정부들이 전기자동차(EV) 충전소 건설 프로젝트 지원을 강화하고 관련 기업도 투자에 나서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베이징 시를 비롯한 지방 정부의 보조금 지급 방안 발표를 계기로 충전스탠드 업계는 순식간에 황금기를 맞게 됐으며, 정부 지원에 힘입어 적자 체질을 벗고 실질적인 봄을 맞게 될지 주목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미 차량 통행량이 거의 없는 지역까지 충전스탠드가 설치되는 등 보조금을 노린 충전스탠드 난립의 문제도 표면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 시 정부는 최근 일부 공공 충전시설에 대한 보조금 지급과 더불어 폴(pole, 막대)형 충전설비 제조업체에도 1대당 연간 20만 위안(약 3000만 원)을 한도로 1kW 당 연간 최고 106 위안(약 1만6000 원)의 장려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힘입어, 중국 최대 자동차배터리업체인 CATL(寧徳時代新能源科技)는 BACN(百城新能源科技)과 합작사를 설립해, EV충전•배터리 교환 설비의 건설과 운영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최대 배전망업체인 State Grid(国家電網)도 올해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 50억 위안(약 7600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중국에서는 향후 10년간 6300만기의 충전 스탠드 수요가 발생해 1조 위안(약 150조 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고 36Kr은 지적한다.

중국의 EV 충전스탠드 설치 대수는 2012년에는 1만8000기에 불과했다. 중국 정부는 2014년에, 2020년까지 충전 시설 1만2000개소를 증설하고 2025년까지 3만6000개소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국유 자본과 민간 기업이 빠짐없이 참가해, 업계는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9~2020년도 중국의 충전 인프라 발전에 관한 연간 보고서’는 2019년 시점에서 EV 충전소는 3만6000개소가 돼, 2025년까지의 건설 목표를 조기 달성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EV 충전스탠드의 난립에 따른 문제도 표면화되고 있다. 지원 정책이 시작된 당시 일부 기업은 막대한 보조금을 챙길 목적으로 자동차 통행이 거의 없는 오지에까지 충전 스탠드를 설치했다. 그 결과, 자원 배분의 불균형으로 이용률이 떨어지고 있다. EV 업계의 컨퍼런스 조직인 ‘China EV100(中国電働汽車百人会)’의 ‘충전 서비스에 관한 리포트’ 조사에서는 2018 년 전국 공공 충전 시설의 가동률은 10% 미만으로 나왔다.

또 EV 충전스탠드는 설비 집약 사업이어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데다 그 회수 기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업계에서는 이 사업의 자금 회수 기간을 평균 5.74~9.57년으로 보고 있다. 2017년 시점에, 중국에서는 300여개 업체가 EV 충전스탠드를 제조하고 있었는데, 2년 후인 2019년에는 그 절반이 폐쇄 또는 사업 철수했고, 30%가 손익분기점 선에서 고전하고 있다.

충전스탠드의 운용방법도 설치 기업에 따라 다르다. 현재 EV 관련업계는 (1)State Grid, China Southern Power Grid(中国南方電網) 등의 국가자본 (2)TELD(特来電新能源), Star Charge(星星充電) 등의 배터리 제조업체 (3)Xpeng Motors(小鵬汽車), 테슬라 등 EV 제조업체 등 3개 진영으로 나뉘어 있다. 전체적인 경쟁의 틀은 거의 갖춰져 있지만, 사업자마다 충전에서 결제까지의 과정이 제각각이어서 산업 전체로는 일원적인 운영 관리가 어렵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EV 충전스탠드의 매출은 크게 줄고 유지보수 인력 부족과 임차 비용 부담 등으로 업계에는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그래도 EV 충전스탠드 사업의 발전 가능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에 충전 설비가 필수라는 점은 자명한 사실이다. 업계 선구자인 테슬라는 이 점을 초기에 간파하고 2015년부터 중국 전역에 자사 충전스테이션 ‘수퍼차저’를 설립하고 있다.

전문 기관은 2030년까지 중국의 EV 판매대수가 1500만대, 보유대수는 8000만대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한다. 그중 순(純) 전기자동차(BEV)는 648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 1대당 충전스탠드가 1기 필요하다고 계산하면 앞으로도 10년간은 비약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충전 시설을 집중적으로 설립하려면 송전망이나 회로의 개조 등 업계의 서플라이체인(공급망) 범위를 크게 능가하는 투자도 필요하다. 이는 소비 촉진과 GDP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인프라 정비 촉진 정책이라는 순풍이 있다 해도, 2014년에 설정된 정부 목표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보조금 지원 뿐 아니라, 건물과 충전 전용 주차 공간에 대한 우대조치 등 산업 발전을 전면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하드웨어를 설치한 후에는 빅데이터에 의한 운영•관리 등의 시스템 구축도 중요하다. 이들이 모두 뒷받침돼야 비로소 EV 충전스탠드는 산업으로 뿌리를 내릴 것으로 36Kr은 내다본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