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중소제조업 300개 대상 조사…"정부정책, 현실 고려해야"

중소기업 현장의 4차 산업혁명 인식 및 대응현황이 2년 전 수준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잘 모르고 있고 또 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안다 해도 구체적인 대응책을 적용한 곳은 10곳 중 1곳에 불과해 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에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중소기업중앙회가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편’이라는 응답이 36.3%로 2년 전 39.5%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특히 63.7%가 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3%는 '대체로 모른다', 13.3%는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아는 기업이라도 대응수준은 1단계에 머문 기업이 25.0%로 가장 많았다.

1단계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에 대해 알고 있기만 한 상태다. 변화를 고려해 사업전략과 인력채용을 조율하는 2단계 대응수준 기업과 제조 스마트화를 시작한 3단계 대응수준 기업은 각각 5.0%, 5.7%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디지털 전환의 체감이 ‘느껴지는 편’이라는 대답은 43.0%로 2년 전 35.7%보다 높아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열린 중소기업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중소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진행됐다. △4차 산업혁명 인식 및 대응 현황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 △정부 4차 산업혁명 정책평가 및 과제에 대해 조사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하여 ‘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이 10.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현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이라는 응답이 28.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순이었다.

다만 응답기업의 16%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가 향후 이를 활용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12.7%만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72.0%가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이 없다'고 응답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맞춤형 컨설팅 지원 53.7% △투자·연구자금 세제혜택 36.3% △인재양성·근로자 재교육 26.7% △신기술·설비 지원 확대 18.7%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지원 14.0% 순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