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사용해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시티’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500개 이상의 도시에서 스마트시티 정비 작업이 진행 중이고, 캐나다에서는 미국 구글 산하 기업 주도로 스마트시티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규모와 방향은 조금씩 달라도 미국과 일본에서도 스마트시티 실험은 전개되고 있다. 인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도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들 스마트시티 건설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교통관리와 에너지절약 등을 추구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한 데이터 이용에 관한 제도 정비가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으면 개인정보를 위협하는 ‘감시 사회’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건설에 들어간 스마트시티 중 이목을 끄는 곳은 호반의 재개발이 진행되는 캐나다 토론토로, 구글 지주회사인 알파벳 산하의 도시계획 전문인 사이드 워크 랩스가 이끌고 있다.

이 회사는 도로를 건너는데 시간이 걸리는 보행자를 인식하는 신호나 갑작스런 악천후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자동식 비 막이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비용은 39억 달러(약 3조6000억 원)에 달한다.

미국에서는 교통 당국의 공모에서 우승한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시가 센서 정보를 집약해 교통사고의 방지나 주차관리 등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하이오주의 데와인 지사는 “최첨단 기술을 향해 나가고 싶다”고 말한다.

인도는 국내 100개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건설하려는 계획을 추진한다. 수도 이전을 밝힌 인도네시아의 죠코 대통령은 새 수도를 “그린 스마트시티로 하겠다”고 역설했다.

스마트시티가 다른 이유로 주목을 받는 곳도 있다. 지난 8월 하순 ‘범죄자 인도 개정안’을 계기로 발생한 시위에서 카메라와 센서가 부착돼 있는 가로등이 연달아 파괴됐다. 시위대가 노린 것은 홍콩 정부가 설치를 진행하는 ‘스마트 가로등’이었다. 당국은 스마트시티 계획의 일환으로 교통 및 기상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설명하지만, 시위대는 감시사회를 우려해 ‘노(No)’를 외친 것이다.

이미 중국 본토에서는 마을 전체의 감시시스템은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상하이 교외의 한 지역은 1000대가 넘는 얼굴인식 카메라와 드론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사람의 밀집 상황을 감지해 상황에 따라 대처한다. 클라우드 기술을 구사하는 이 시스템을 개발한 곳은 전자상거래 최대 업체인 알리바바다.

베이징시와 상하이시는 감시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AI로 분석하고 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위구르족을 추적하는 얼굴인증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펜스 미국 부통령은 지난해 10월에 “중국은 유례없는 감시 국가를 구축하고 있다”고 단언했다. 중국 관영 신화 통신에 따르면 2018년에 중국 국내 500여 개 도시가 스마트시티 건설을 제안했다.

토론토의 스마트시티 계획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벤처 투자자는 “수집되는 데이터의 양이 전례 없는 규모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며 “디스토피아와 같은 구상이다”라고 비판한다.

데이터를 통합해 활용하는 도시는 시민의 안전이나 생활의 편리함을 높일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때문에 한편의 우려에도 스마트시티 시장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시장미국 조사업체 IDC는 세계 스마트시티 관련 시장 규모는 2018년의 886 억 달러(약 105조 원)에서 2023년에는 1895억 달러로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