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항공산업 주도하는 미국시장 선투자…향후 PAV 시장 확대에 선제적 대응
2040년 1,800조원 시장에서 항공전자 분야 등 새로운 사업기회 확대

한화시스템이 미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는 ‘에어택시’ 시장에 진출한다.

한화시스템은 PAV(Personal Air Vehicle) 선도기업인 미국 K4 에어로노틱스(K4 Aeronautics)에 2,500만 달러(한화 약 295억원)를 투자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한화시스템은 K4 에어로노틱스의 일정 지분을 확보하고 미국 시장을 공략할 PAV 개발에 함께 참여하게 된다. 아울러 향후 점진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의 이같은 투자 결정에 주목되는 이유가 뭘까.

우선 투자업체를 보자. 미국 K4 에어로노틱스는 PAV를 구현할 다수의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기 추진식 PAV 제품 개발에 기반이 될 기술 라이선스도 보유하고 있어 시장진입을 위한 주요 요구 조건을 만족할 업체로 평가받고 있다.

‘에어택시'라고도 불리는 PAV시장은 어떤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하지만 향후 혁명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바로 이것이 무기체계 등을 주로 개발하는 방산업체 한화시스템이 투자업체로 PAV업체를 선택한 이유다.

한화시스템 장시권 대표이사(왼쪽)와 K4 에어로노틱스 CEO 벤 티그너가 미 캘리포니아주 K4 에어로노틱스 본사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한화시스템 장시권 대표이사(왼쪽)와 K4 에어로노틱스 CEO 벤 티그너가 미 캘리포니아주 K4 에어로노틱스 본사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한화시스템은 그간 미래 사업 발굴 차원에서 PAV 분야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왔다. 이번 투자를 통해 항공전자 부품 등 새로운 분야로 사업기회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항공 관련 사업은 한화그룹이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번 투자는 그룹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다.

한화시스템 관계자가 “PAV는 한화시스템의 항공전자·ICT 기술력을 활용해 새로운 분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대단히 매력적인 사업 아이템이다”고 밝힌데서도 잘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봐야 한다"며 "당장은 아니지만 얼마간의 시너지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

PAV는 차량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과 인프라 확충 한계, 대기오염과 소음 등 환경 이슈를 극복할 새로운 운송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 배터리·모터 기술의 발전과 충돌회피, 자율비행 등 첨단 기술의 등장으로 PAV를 새로운 운송수단으로 개발하려는 업계 및 각국 정부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실제 보잉, 에어버스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 및 다수 스타트업 기업들이 PAV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또 글로벌 차량공유서비스 업체인 우버는 에어택시 시장 창출을 위해 다양한 업체와 파트너십을 구축 중이다. 에어택시는 미국을 중심으로 203년에 시범 서비스가, 2025년에 상업 운항이 시작될 전망이다.

모건스탠리는 관련 도심항공교통 시장이 2040년까지 1조 5,000억 달러(약 1,77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미 정부 인허가 등 기타 통상적인 선결조건을 전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한화시스템의 이번 투자는 한화그룹의 지속적인 항공관련 사업 투자와도 맞닿아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 2014년 삼성으로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옛 삼성테크윈)를 인수한 이후 항공분야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15년 미국 엔진 제조사 P&W와 국제공동개발사업(RSP)에 참여했고, 올해 6월에는 항공엔진 부품업체 EDAC을 3억달러(3500억원)에 인수하며 적극적인 사업확장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한화그룹이 SK그룹과 함께 아시아나항공의 주요 인수후보로 거론되는 점도 눈길을 끈다.

한화그룹은 지난 2018년 저비용항공사(LCC) 에어로케이에 160억원을 투자했다가 회수한 이력도 있을 정도로 항공운송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화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게 된다면 한화그룹은 항공엔진제조-정비·조립-운송으로 이어지는 계열화를 구축하게 된다.

여기에 더해 가까운 미래는 아니지만 모빌리티 관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개인 취미용 드론 시장은 지난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룬 것과 달리 산업용 드론 시장은 여전히 미개척 분야로 평가 받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PAV가 상용화될 경우 에어택시를 비롯해 화물운송용으로도 용도가 확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에어버스를 비롯해 아마존 등은 소형 및 대형화물 운송을 위한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항공운송산업과 연계될 경우 3차원에서의 장거리 이동과 운송을 모두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