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일 주도…국가 통제 중국 등 겨냥한 조치

세계무역기구(WTO)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비즈니스에 관한 국제 규정 제정을 추진한다.
세계무역기구(WTO)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비즈니스에 관한 국제 규정 제정을 추진한다.

 

세계무역기구(WTO)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비즈니스에 관한 국제 규정 마련에 나선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규정은 국가가 개인이나 기업의 정보검열 등으로 과도하게 개입하면 경쟁 환경이 왜곡되기 때문에 국가에 의한 데이터 공개요구를 금지하는 내용 등을 목표로 추진되는데,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는 중국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WTO가 데이터 통상분야 규정 제정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WTO가 데이터 거래에 관한 규칙 제정을 서두르는 것은 현 상태로는 디지털 시장의 질서를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미국은 무역 규정 제정에 지지부진한 WTO에서 탈퇴도 불사한다는 자세를 보이지만 국가가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까지 포함해 안전한 데이터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규정 제정에는 긍정적이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이 주도해 이달 중 수십 개 국가가 공동으로 새로운 규정 제정에 착수한다는 사실을 발표할 예정이다. 스위스에서 열릴 세계경제포럼(다보스회의)에 맞춰 WTO가 회원국 각료급이나 고위 당국자가 참가하는 비공식 회의를 개최한다. 올해 중반 본격 협상을 시작해 이르면 내년 봄 새 규정을 도입한다는 목표다.

디지털 무역의 범위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유럽에서 디자인한 신형자동차 관련 데이터를 중국의 생산거점에 보내고 일본에서 마케팅을 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비즈니스에 없어서는 안될 데이터 관련 규칙 제정이 시급하지만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는 국가도 있다.

특히 중국은 2017년에 안보를 이유로 사이버보안법을 제정, 외국기업이 중국내에서 수집한 고객정보와 현지법인의 개인정보 반출을 금지했다.

이와 관련, 한 예로 미국 구글은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색서비스 검열을 거부해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기도 했다. 국가가 데이터 관리를 지나치게 강화하면 국제적인 사업 환경을 왜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일본은 프로그램 설계도인 소스코드나 실행절차 알고리즘 등 국가에 의한 기업비밀 공개요구를 금지하자고 제안했으며, 미국과 유럽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일본은 다른 나라에도 동의를 구해 다국간 규칙 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WTO무역 감시기구로 불렸지만 회원국 간 이해가 엇갈려 다국간 규칙 제정에서 답보 상태에 있다. 미국은 WTO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데이터 관련 규정 제정에 실패하면 WTO 무용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사업과 관련한 국제 규정은 현재 특정 지역을 묶는 자유무역협정(FTA) 등에만 적용되고 있다. 미국을 제외한 11개국이 참여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나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서는 데이터의 자유로운 유통을 보장하는 규칙이 있다.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는 국경을 쉽게 넘나들기 때문에 일부 국가가 참여하는 무역협정으로는 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 국가가 기업비밀에 개입하면 경쟁 환경을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EU 등은 세계 각 국이 가맹하는 WTO 차원의 규칙 제정을 추진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