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9'5G 특화망 주파수 공급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8대역 600(28.9~29.5)5012개 블록으로 나눠 공급할 계획이다. 기업 요청에 따라 6이하(서브6) 대역인 4.7대역 100(4.724.82)1010개 블록으로 나누어 동시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번 주파수 공급방안은 정부가 25년만에 주파수를 민간에 개방한 것으로, 그 배경에는 민간 기업의 참여를 통한 5G 특화망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이번에 민간에 개방한 28LTE에 비해 20배 빠르지만 도달거리가 짧고 장애물에 약해 이통사의 전국망 구축을 위한 투자가 쉽지 않다. 대신 여러 기업에 주파수 문호를 열면 다양한 특화망을 구축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5G 특화망은 넌 퍼블릭 네트워크(Non Public Network), 로컬(Local)5G 네트워크, 프라이빗 5G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특정 지역에 특정 목적으로 특정 기간동안 이동통신 사업 면허를 받아서 사업하도록 한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한 종류다. 

이전에도 유사한 목적으로 제안된 방식이 있었으나 대개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기술적 요소가 상이하여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통신 5세대에 이르러서 5G 특화망이 다시금 부각되는 것은 5G 통신망의 특성 때문이다. 예컨대 망 요소가 IP 기반으로 표준화되어 장비 조달구축운용 비용도 크게 낮아져 저렴한 비용으로 특화망 구축이 가능하다. 기술적으로도 5G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수준의 초고속, 저지연, 고신뢰성을 확보하여 전통적인 산업 영역에 특화망을 구성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

이에따라 5G 특화망은 제조는 물론 에너지, 유틸리티, 학교, 항공, 의료,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함으로써 디지털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같은 산업 혁신의 촉매제로 기대되고 있다이미 해외에서는 제조업 분야에서 특화망의 활용이 상당히 진전됐다. 독일에서는 보쉬(Bosch), 루프트한자(Lufthansa) 등이 제조, 정비공정에 특화망을 활용하고 있다. 일본은 NEC, 후지츠(Fujitsu) 등의 제조업체가 면허를 받아 제조 현장에 적용중이다.

우리나라 5G 특화망의 수준은 세계 주요 ICT 선진국과 비교하면 꼴지 수준이다. 제대로 된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고 대분분 시험 서비스 수준이다. 그동안 이동통신용 주파수를 할당받은 이동통신사만 5G 특화망을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비통신사의 5G 특화망 활용 방안을 준비해왔고, 이번에 민간에 28대역 주파수를 민간에 공개하기 이른 것이다정부의 바람대로 그동안 5G 특화망 활성화의 걸림돌이었던 주파수 개방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국내 시장이 이제막 열린 셈이다. 정부는 이르면 11월부터 삼성전자나 네이버 등 일반 기업들도 5G 주파수를 할당받아 독자적인 특화망을 구축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전제되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제 초기 단계인 5G 특화망이 활성화되려면 B2B 서비스 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야 하며,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TTA저널 194호에 실린 한국에서의 특화망 활용방안보고서에서 나성욱 5G 포럼 공공융합위원장은 “5G 특화망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단말디바이스장비 등에 대해 정부의 공공민간 초기수요를 창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5G 특화망 기술은 ICT 생태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기술로서 우리나라가 ICT 인프라 분야의 선도 국가로 지속하기 위해 신속하고 신중한 정책을 마련하면서 과감히 투자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테크데일리(TechDail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